#중국자연재해추천(11) 양쯔강 7월 장마 시작, 세계가 주목하는 싼샤댐과 쓰촨성 원촨대지진, 중국네티즌 하늘이 노했다는 6월 기상이변 #김상순박사동아시아TV 2020.06.30

김상순TV
김상순TV
The rainy season on the Yangtze River begins in July, Sanxia Dam and Wenchuan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where the world pa ...
The rainy season on the Yangtze River begins in July, Sanxia Dam and Wenchuan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where the world pays attention, Chinese Netizen says the sky was angry in June.

오늘이 지나가면 7월입니다. 그런데 6월말에 폭설이 내리고, #모래_회오리에 #바다_용오름, #폭우_홍수, #가뭄, #강풍과 주먹만한 #코로나_우박폭탄까지 중국 전역이 이상기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새로 준비한 영상으로 정리했습니다. 영상보시죠.

If today passes, it will be July. But at the end of June, heavy snow falls, sand whirlwinds, heavy rain floods, droughts, strong winds and fist-sized corona hail bombs are suffering from abnormal weather conditions throughout China. I organized it with the newly prepared video. Let's watch the video.

영상1: 중국 6월 이상기후
6/26일 발생했습니다. #쓰촨성_서부의 여러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6월 26일부터 28일까지 사이에 발생한 산사태입니다. 28일 저장성 창싱현 산사태입니다. 산사태로 열차도 쓰러졌습니다만, 보도가 안됩니다. #싼샤댐 건설로 담수 중량이 지진대를 자극해서 더 위험하게 되었다고 우려되는 지역입니다. 후난성(湖南省) 창사시(长沙市)의 인도가 폭우와 홍수로 지반이 약해져서 내려 앉았습니다.

6월인데 눈이 내립니다. #네이멍구(内蒙古)자치구 풍경입니다. #신장(新疆)위구루자치구 탕부라(唐布拉) 초원에도 6월 29일 어제 눈이 내렸습니다. 신장의 이리(伊犁)대초원에도 눈이 내렸는데, 소들에게 먹일 풀이 없다고 합니다. 역시 신장의 우수시(乌苏市) 두쿠(杜库)국도에도 폭설이 내렸습니다. 지린성과 헤이룽장에도 6월에 눈이 내렸었는데요.

6/24일 헤이룽장성(黑龙江省) 다칭시(大庆市)에 회오리가 생겼습니다. 6/24 네이멍구자치구의 시린하오터시(锡林浩特市) 모래 회오리 지난 방송과 다른 영상 보시죠. 도시로 들어오니 위력이 실감납니다. 6/28 후베이성(湖北省) 징먼시(荆门市)의 강풍과 회오리의 위력이 대단합니다. 중국네티즌들조차 6월의 각종 기상이변에 놀라며, 이건 하늘이 노했다고 합니다. 제 의견이 아닙니다. 정말 천벌을 받고 있는 것일까요?

지난 방송에서는 6월초부터 계속해서 내린 폭우로 불어난 물과 산사태로 휩쓸린 농촌 마을을 주로 보여드렸는데, 오늘은 도시의 풍경 이모저모를 준비했습니다. 영상보시죠.

영상2: 홍수 사태와 도시 주민들의 일상
6/28 #후베이성(湖北省) 샹양시(襄阳市)에서 폭우 홍수로 익사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5/27 방송에서 수중 감전사고에 대해서 말씀 드렸었는데요. 6/28 #안훼이성(安徽省) 푸양시(阜阳市)에서 수중 감전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물이 찼는데 전동오토바이나 자전거를 타고 가는 것은 그래서 위험합니다.

차로 이동하는 것도 위험합니다. 공안이 운전자를 끌어올리네요. 아기를 안고 가던 여인이 물살에 휩쓸리는데 지나던 행인이 도와줍니다. 6/27 후베이 샹양시 주민이 퇴근하고 오니 아파트 1층에 사는데 집에 물이 차면서 물에 떠밀려 집밖으로 나간 가재도구를 건지고 있습니다.

무릎까지 물이 차도 식사준비는 하고, 물살이 꽤 거센데 장사도 합니다. 방에 물이 찼는데 마작도 합니다. 어차피 물빠질때까지 시간 때워야 하지만 참 대단합니다. 비를 맞으며 뭘 하나요? 장기 두나요? 물바다가 된 음식점에 손님들이 만원입니다. 요지경이네요. 홍수에 부실공사가 드러났습니다. 고급 아파트 2층인데 벽에서 물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6월초부터 시작된 중부지방의 폭우와 홍수로 세간의 이목이 싼샤댐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쓰촨성과 충칭시의 폭우와 홍수로 불어난 물을 감당하지 못해 몰래 방류해 왔던 싼샤댐이 6월 28일부터 공식적으로 방류를 시작했습니다. 영상 보시죠.

영상3: 싼샤댐 방류와 하류 도시 홍수
6월초부터 시작된 쓰촨성과 충칭시의 폭우로 싼샤댐 상류의 댐들이 하나 둘씩 수문을 열었고, 싼샤댐도 몰래 방류를 하다가 결국 6월 28일 20시부터 매초 31,000입방미를, 29일 8시부터 35,000입방미를 방류하기 시작했습니다.

싼샤댐이 방류를 하면, 하류의 이창(宜昌) 우한(武汉) 난징(南京) 상하이(上海) 이 방향으로 홍수 위기가 발생합니다. 6월 내내 내린 비로 물의 양이 엄청나고 장강(长江)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홍수에 시달리는데, 싼샤댐이 방류를 시작했다고 하자 하류의 댐과 도시들이 긴장합니다. 싼샤댐이 무너지면 이 도시들이 다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됩니다.

싼샤댐 상류도시 쓰촨의 #루저우시(泸州市) 홍수 광경입니다. 이 물은 충칭시에게 압력을 가합니다. 충칭을 지난 물은 싼샤댐을 지나 첫번째 도시인 후베이성 이창시(宜昌市)으로 향합니다. 이창시는 그 전에도 이미 홍수상태입니다. 이창시를 거친 물은 #우한시(武汉市)로 가지만, 우한시 역시 이미 홍수를 겪고 있습니다. 후베이성에는 다섯 개의 큰 호수 오대호(洪湖、梁子湖、长湖、斧头湖、汈汊湖)가 있습니다. 이 호수들은 불어난 물로 범람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우한을 지난 물들은 장강을 따라 중소도시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합니다. 안훼이성(安徽省)의 허페이시(合肥市)는 평소에는 장강과는 거리가 있지만, 만약 싼샤댐이 터진다면 허페이시도 재난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방류된 상류의 물이 도착하기도 전에 난징시(南京市)도 이미 물바다입니다.

기상도를 보면 장강을 따라 폭우가 계속해서 쏟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6/20일부터 7월초의 예보까지 장강 주변에 비 예보가 있고, 특히 싼샤댐 상류인 충칭의 경우는 폭우가 계속 표시되고 있습니다. 상하이는 결국 맨 마지막에 이 물세례를 모두 받아야 합니다. 창문 밖으로 물이 들어찰지도 모를 일입니다.

댓글소통 & 에피소드

댓글소통과 에피소드 시간입니다. 6월달 중국 중부지방 폭우와 홍수 피해에 대한 피해상황 산정이 나왔는데요. 물론 중공이 발표할 리가 없죠. 중화권 언론들의 발표도 추론이라서 각각 차이가 있는데, 종합해보면 이렇습니다. 대략 26개성급 지역에서 연인원 약 1200만명~1374만명이 수해를 입었고, 사망 혹은 실종 78명, 약 200억위안(약 3조 4000억원) 이상의 경제손실, 약 148개의 하천과 강에 홍수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7월은 중국 장강(长江)의 홍수가 시작되는 계절입니다. 거의 6월 한 달을 폭우와 홍수로 지낸 충칭시는 계속해서 7월에도 강수량이 150미리 이상이 예보되고 있습니다. 하류에 있는 싼샤댐이 주목 받는 이유입니다.

또다른 주목은 지진입니다. 앞 영상에서 보셨던 것처럼 쓰촨성 서부지역의 산사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장마철이 되면 더 위험할텐데요. 싼샤댐과 항상 같이 언급되는 쓰촨성의 대표적인 지진은 2008년 5월 12일 발생한 진도 8.0 원촨(汶川)대지진으로 약 69,000명이 사망했던 지역입니다. 계속해서 관련내용을 시리즈로 방송합니다. 감사합니다.


'김상순박사ChinaTV' 방송제작을 위한 자율구독료 후원계좌를 개설했습니다. 자율구독료는 말 그대로 자율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1,000원부터 가능합니다. 성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후원계좌:
1)우리은행 김상순 1002-308-797923,
2)카카오뱅크 김상순 3333-15-2228727

#김상순박사ChinaTV 채널 소개
1) 본 채널의 3대 목표:
대한민국의 국민안전, 국익수호, 국격제고(提高)를 위해 시청자와 함께 고민하고 소통하기 위해 개설한 채널입니다.

2) 본 채널의 성격과 소통 방향:
동아시아 국제정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특히 중국공산당(중공)과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연구를 통해, 중국 눈치나 보는 친중 정책이 아닌, 당당하게  중국을 이용하거나 활용하는 '용중정책'을 시청자들과 소통하고 고민하는 채널입니다. 친중반대, 전술적 반중, 중국을 이용 혹은 활용하는 전략적 용중정책 분석과 연구가 이 채널의 성격이자 소통 방향입니다.

3) 본 채널의 정치적 성향:
(1) 중국 대응: 전략적 용중론(친중반대, 전술적 반중), 경제의존 탈중국화, 중국시장 내수화.
(2) 미국 협력: 한미동맹강화 동시에 자주국방강화.
(3) 한국 가치관: 자유 민주 사회 추구, 개방형 시장경제.
(4) 한반도 미래: 평화통일, 한반도 G5 목표 추구.

○ 김상순 프로필: 동아시아평화연구원 이사장,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국제관계분과 전문위원,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정책자문위원, 사)청소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중국 차하얼학회(察哈尔学会) 고급연구위원, 칼럼니스트(한중 주요 언론에 한글&중문 약 350편 칼럼 발표), 패널리스트: 2014년 3월부터 중국봉황위성(凤凰卫视)에 6개 생방송&녹화 TV토론 출연 중, 2018년 3월부터 한국경제TV에 출연중), 대만대 사회학석사, 북경대 CEO-eMBA, 칭화대 CEO-eMBA, 북경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

همه توضیحات ...